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홈플러스,  기업가치 0원 주장에 반박
경제

홈플러스,  기업가치 0원 주장에 반박

홍이슬 기자
입력

홈플러스가 매출채권 담보 대출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기업가치 0원이라는 주장을 반박했습니다. 9일 홈플러스는 입장문을 통해 대규모 외상매출채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도 존재하지 않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제조사에서 상품을 공급받은 후 45~60일 뒤에 대금을 지불하는 과정에서 외상매출채권이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때 제조사에게는 채권, 홈플러스에는 채무가 발생합니다. 제조사는 이 채권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홈플러스는 해당 채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상매출채권을 담보로 한 대출 자체가 발생할 수 없는 구조임을 강조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실제 외상매출채권이 알려진 약 3조원이 아니라 약 3000억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이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투자한 보통주를 전액 손실처리했다는 보도가 사실이더라도 '우선주'의 액면가 합이 1조원이 넘기 때문에 기업가치를 0원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도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ABSTB)를 판매했다는 지적에는 "해당 상품 판매와 무관하다"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가 대금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신용카드사에 채권이 발생하고, 그 채권을 증권사들이 매입해 CP와 ABSTB를 발행했다는 것입니다.  홈플러스는 "(CP와 ABSTB가) 판매된 것을 홈플러스도 회생 신청 후에야 알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홈플러스의 회생절차 신청으로 일부 협력사가 납품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으나 관련 대금이 순차적으로 지급되며 제품 공급이 재개되고 있습니다. 오뚜기와 롯데웰푸드 등 식품업체가 이미 납품을 재개했거나 재개할 예정입니다.

홍이슬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