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12·3 비상계엄 선포는 "분명히 잘못…과도한 조치"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가장 중요한 과제가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온 이후 갈라진 민심을 다시 모으고 국가적 혼란을 최소화하는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공정해야 한다"고 말하며, 헌재가 늦어도 3월 초까지는 결심하지 않겠나며, 기각됐을 때도 인용됐을 때도 엄청나게 큰 혼란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권 비대위원장은 국민들께서 탄핵 심판 결과를 납득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헌법재판관들께서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해 주실 것을 요청했습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분명히 잘못됐다. 과도한 조치였다"며 "앞서 있었던 민주당의 무도한 행태들을 감안하더라도 비상계엄으로 거기에 대처하는 것은 옳지 못한 태도였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국회와 선관위에 병력을 보내는 것, 계엄이 적법하게 선포가 됐을 경우 각 헌법 기관에 보내는 건 맞다고 설명했지만, 국회에 보내는 거는 조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국회에 (계엄) 해제 요구권을 주고 있는 만큼 국회 활동에 제약을 두는 것은 문제라고 분석했습니다.
윤 대통령과의 관계가 향후 중도층 확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는 "중도에 있는 분들은 대개 정치적으로 고관여층이 아니거나 생각 자체가 중립적인 분"이라며 "누가 더 실사구시를 하느냐에 달렸지, 그게 누구하고 멀어지고 뭐 이런 데 영향을 크게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진단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탄핵 심판 결론에 앞서 하야 등의 거취 결정을 내릴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고려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옳은 방법은 아니다"고 지적했습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일각의 부정선거 주장에 대해서는 "부정선거가 있다고 단정할 정도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지만, 대통령도 투표 과정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정도라면 한번 철저한 리뷰가 필요하지 않겠나라고 지적했습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의 발언은 국민들의 논란과 함께 윤석열 정부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키울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