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이탈 속 한의사 활용 논란 재점화
대한한의사협회는 지난 19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한의사 추가 교육을 통한 의사 부족 문제 해결 방안을 제안했다. 이들은 한의사들이 이미 한의과대학에서 의과대학 교육 과정의 75%를 공부했다는 점을 근거로, 의료인인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 국민 건강과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의협은 전공의와 공보의 사태가 악화되면서 정부가 아직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며, 한의사 활용을 통한 빠르고 효과적인 의료 현장 투입이 가능하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의사 눈치를 보느라 가장 합리적인 방안에 대해 일부러 눈을 감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한의협은 작년 2월 의대 입학정원 2,000명 증원 발표 이후 의대생과 전공의 이탈로 의료 공백이 심화하자, 한의사에게 2년의 추가 의대 교육을 해 의사를 배출하는 '지역 필수 공공 의료 한정 의사제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한의사를 활용하면 의대 정원 증원보다 빠르게 부족한 의료 인력을 충원하고, 의대 정원 폭을 줄여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것이다.
윤성찬 한의협 회장은 작년 9월 서울 모처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지금 (의사 수를) 늘려도 6~14년 뒤에 효과를 거둘 수 있지 않다. 의대, 한의대 모두 개설된 5개교에서 한의사에게 2년 더 가르쳐 의사 면허를 부여해달라"고 제안했다. 이에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은 페이스북에 “본인들 조차 자신들의 정체성에 혼란스러워 하는 한의사 제도 폐지를 공론의 장에서 진지하게 논의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한의사 활용을 통한 의사 부족 문제 해결 방안은 여러 가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의협은 한의사의 전문성을 강조하며 의료 현장 투입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대한의사협회는 한의사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을 제기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