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상수지 7개월 연속 흑자 기록… 2015년 이후 최대 규모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는 93억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다. 1~11월 누적 경상수지는 835.4억 달러로, 2023년 같은 기간(280.7억 달러)보다 554.7억 달러나 많다. 이는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한국은행은 연간 전망치인 900억 달러를 무난히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 흑자의 주요 원동력은 상품수지다. 11월 상품수지는 97.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023년 4월 이후 20개월 연속 흑자세를 유지했다. 수출은 반도체(29.8%)·정보통신기기(8.5%)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지만, 석유제품(-18.6%), 승용차(-14.1%) 등의 수출은 감소했다.
반면 수입은 석유제품(-19.4%)·원유(-16.8%)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소비재 수입 또한 승용차 등을 중심으로 6.3% 감소했다.
"12월에도 상품수지를 중심으로 상당 폭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은 금융통계부장 송재창은 말했다. 다만,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어 나타나는 '불황형 흑자' 기조가 올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서비스수지는 11월 20억 9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여행수지 적자가 전월보다 커졌다. 연말·겨울방학 효과로 국내 출국자가 늘면서 12월 여행수지 적자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원소득수지는 분기배당 지급 등의 영향으로 흑자 폭이 줄었지만, 19억 4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문제는 글로벌 저성장 기조와 트럼프 정부의 고관세 정책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더뎌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