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한국 경상수지 7개월 연속 흑자 기록… 2015년 이후 최대 규모
경제

한국 경상수지 7개월 연속 흑자 기록… 2015년 이후 최대 규모

홍이슬 기자
입력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는 93억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다. 1~11월 누적 경상수지는 835.4억 달러로, 2023년 같은 기간(280.7억 달러)보다 554.7억 달러나 많다. 이는 역대 세 번째로 큰 규모다. 한국은행은 연간 전망치인 900억 달러를 무난히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 흑자의 주요 원동력은 상품수지다. 11월 상품수지는 97.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023년 4월 이후 20개월 연속 흑자세를 유지했다. 수출은 반도체(29.8%)·정보통신기기(8.5%)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지만, 석유제품(-18.6%), 승용차(-14.1%) 등의 수출은 감소했다.

 

반면 수입은 석유제품(-19.4%)·원유(-16.8%)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소비재 수입 또한 승용차 등을 중심으로 6.3% 감소했다.

 

"12월에도 상품수지를 중심으로 상당 폭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은 금융통계부장 송재창은 말했다. 다만,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어 나타나는 '불황형 흑자' 기조가 올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서비스수지는 11월 20억 9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여행수지 적자가 전월보다 커졌다. 연말·겨울방학 효과로 국내 출국자가 늘면서 12월 여행수지 적자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원소득수지는 분기배당 지급 등의 영향으로 흑자 폭이 줄었지만, 19억 4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문제는 글로벌 저성장 기조와 트럼프 정부의 고관세 정책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더뎌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홍이슬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