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회,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 사용 금지 법안 추진
미국 연방의회는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를 미 정부 기관 기기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이번 법안은 틱톡과 같은 규제가 딥시크에도 필요하다고 판단한 공화·민주당 의원들이 발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시 고트하이머 민주당 의원은 "적대국이 우리 정부의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즉각적인 조처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미 보안 업체를 인용하며 "딥시크가 미국 등 각국 이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중국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로 보내는 코드를 숨겨 놓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딥시크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접속 차단’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딥시크는 지난 6일 한 소셜미디어 계정에 올린 '딥시크의 공식 정보 발표 및 서비스 채널에 대한 설명'이라는 입장문에서 "최근 딥시크와 관련된 일부 위조 계정과 근거 없는 정보가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은 7일 "딥시크가 자사와 관련된 여러 의혹을 부인하는 내용의 공식 입장을 처음으로 내놓았다"고 보도했다. 딥시크는 “우리 회사 AI 모델 서비스를 받으려면 홈페이지 등 공식 채널을 통해 앱을 내려받아야 한다”며 “위챗의 공식 사용자 그룹 외에 딥시크 공식 그룹과 관련된 모든 요금 부과 행위는 허위"라고 해명했다.
딥시크는 일반 이용자 대상으로 무료 AI를 제공하지만, 기업을 상대로는 사용료를 받는다. 이 금액을 8일부터 인상하기로 했다. 딥시크는 홈페이지를 통해 "2025년 2월 8일 오후 4시부터 딥시크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할인이 끝나고 정가로 복구된다"고 공지했다. API는 딥시크를 다른 프로그램에 접목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기업용 서비스다. 딥시크는 지금까지 '딥시크-V3' 모델 기준으로, 100만 토큰당 0.014달러(입력)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8일부터는 지금보다 5배 비싼 0.07달러를 받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