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통상임금 흑자전환…영업이익 2603억 원 달성
이마트가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판결로 발생한 추가 비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을 471억 원으로 흑자로 전환하며 실적 개선을 이루었습니다. 이는 고강도 본업 경쟁력 강화 노력의 결과입니다.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71억 원으로 흑자로 전환했다고 11일 공시했습니다. 전년보다 940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통상임금 변수로 현금 유출 없이 회계상 인식된 퇴직 충당부채와 희망퇴직 보상금 등을 더해 2132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상황에서 달성한 성과입니다. 이를 제외한 지난해 실질 영업이익은 2603억 원입니다. 전년보다 3072억 원 증가했습니다.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대내외 3대 악재 속에서도 강력하게 추진한 본업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개선 노력이 성과를 낸 것으로 이마트는 분석했습니다. 매출은 29조 209억 원으로 1.5% 소폭 감소했고, 순손실은 5734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마트 별도 매출은 16조 9673억 원으로 전년보다 2.5% 늘었고 영업이익은 1218억 원으로 35.2% 줄었습니다. 1398억 원에 이르는 퇴직 충당부채 등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39.1% 증가한 2616억 원입니다.
이마트의 경우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비용 증가분이 상대적으로 큰 편입니다.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용 인원이 많은 데다 장기 근속자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입니다. 2023년 말 기준 이마트 고용 인원은 2만 2744명으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기아, LG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에 이어 국내 7위권입니다. 여기에 대형 마트 업태 특성상 휴일 영업에 따른 초과 근로 수당과 휴일 수당 비중이 높아 퇴직 충당부채 증가에 따른 비용 부담도 크다고 이마트는 설명했습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통상임금 판결에 따라 지난해 4분기 퇴직 충당부채 소급분으로 일시에 반영된 표면적인 비용 증가분을 빼면 지난 한 해 진행한 강력한 쇄신과 혁신에 기반한 본업 경쟁력 강화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말했습니다. 올해의 경우 통상임금 판결 영향이 미미해 실적 개선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이마트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