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수출 기업, 15% 초과 관세 시 버티기 어려워
경제

수출 기업, 15% 초과 관세 시 버티기 어려워

홍이슬 기자
입력

한국경제인협회는 10대 수출 주력 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92.0%가 미국의 관세 인상률이 15%를 넘을 경우 감당하기 어렵다고 답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철강, 선박, 석유화학 등 10대 수출 주력 업종 매출액 1000대 기업 15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하반기 국내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평균 1.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자동차부품, 자동차, 일반기계, 석유화학, 철강 등 7개 업종에서 채산성 악화 우려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에서 수출 감소를 예상하는 기업들은 그 요인으로 관세 등 통상 불확실성 증가(45.6%)와 주요 수출시장 경기 부진(26.6%)을 꼽았다. 반면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들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 개척(28.2%)과 신제품 개발 등 제품 경쟁력 강화(25.0%)를 이유로 들었다. 또한 수출 기업들은 최대 리스크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53.3%)을 지목했으며, 글로벌 저성장에 따른 수요 침체(14.0%), 미·중 통상 갈등 심화(12.7%) 등이 뒤를 이었다.

 

대기업 역시 어려움이 예상된다. 수출 대기업의 절반가량(47.3%)은 하반기 수출 채산성이 지난해 하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채산성 악화 가능성을 예상하는 응답은 38.7%로,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14.0%)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채산성 악화의 원인으로는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44.8%),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단가 인하(34.5%), 인건비 등 운영비용 증가(13.8%) 등이 꼽혔다.

 

기업들은 통상 협정을 통한 관세 부담 완화(37.0%), 법인세 감세 및 투자 공제 등 세제 지원 확대(18.7%), 신규 수출시장 발굴 지원(12.6%)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비용 절감 중심의 단기 대응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수출 기업의 비교 우위를 반영한 통상 협정과 수출 지역 다변화를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이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