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준 경호처장, 긴급체포 위험 속 경찰 출석... '윤 대통령 2차 체포' 혼선 노렸나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경찰에 소환되었으나, 두 차례 불응했다. 그러나 1월 10일 오전 그는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로 전격적으로 출석하며 이번에는 수사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고 선언했다. 박 처장은 기자들과의 간단한 대화를 통해 변호인 준비가 다소 늦어졌다며 이번 소환 조사에는 처음부터 응하기로 마음먹었던 것을 강조했다.
박 처장의 갑작스러운 경찰 출석은 여러 가지 해석을 불러일으켰다. 첫 번째로, 박 처장이 자신에 대한 체포·구속영장 발부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경찰에 출석했을 가능성이다. 일반적으로 경찰은 피의자가 세 차례 소환 통보에 응하지 않으면 체포·구속영장 신청을 검토한다. 박 처장에게도 세 번째 출석 요구가 거부될 경우 강제수사 전환이 고려되고 있었다. 두 번째로, 경찰 출석으로 긴급체포 가능성이 낮아질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긴급체포는 증거인멸 및 도주 우려를 요건으로 하지만, 박 처장이 자진 출석하는 경우 구속영장이 기각될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적용된 공무집행방해죄는 '직무를 집행 중인 공무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한 자'에 한해 성립하기 때문에 '단순 불응'으로는 혐의 입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을 수 있다.
박 처장은 이날 경찰 출석 여부와 시간을 사전에 언론에 알리고, 취재진과 만나 미리 준비해온 듯 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현직 대통령 신분에 걸맞은 수사 절차가 진행돼야 한다"며 "현재와 같은 집행 방식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발언이 TV, 유튜브 등으로 생중계 되면서 윤 대통령 지지층의 결집을 강화할 목적도 있었다는 해석이다. 박 처장의 경찰 출석으로 인해 '윤 대통령 2차 체포 시나리오'가 실행 불가능해졌다는 분석도 있다. 경찰은 박 처장이 세 번째 소환 통보에 응하지 않을 경우, 박 처장 등 경호처 간부들에 대한 체포영장과 윤 대통령 2차 체포를 동시에 집행하려는 계획을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처장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계속 협조하지 않겠다고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그는 수사 과정에서 말씀드리겠다고 답변하며, "(영장 적법 여부에) 이론이 있다"고 언급했다. 경찰 조사는 오전 10시에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