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북한, 1100km 비행 극초음속 IRBM 발사... 트럼프 취임 앞두고 '견제구'
정치

북한, 1100km 비행 극초음속 IRBM 발사... 트럼프 취임 앞두고 '견제구'

최영민 기자
입력

북한이 6일 오후 낮 12시쯤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군은 이 미사일이 약 1,100km를 비행 후 동해상에 떨어졌다고 분석하며,  고체연료 추진체계(엔진)를 적용한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미국 대선 직전인 지난해 11월 5일 SRBM 발사 이후 두 달여 만에 실시된 것으로,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북한의 존재감을 과시하는 '견제구'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번 발사는 미국 국무장관 토니 블링컨의 방한과 동시에 일어났다. 블링컨 장관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 한미동맹, 한미일 협력, 북한 문제 등을 논의했다고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극초음속 IRBM의 성능을 높여 미국의 전략 자산을 겨냥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번 발사를 대미 기선제압용으로 판단하기도 한다. 1월과 4월에 시험 발사한 것보다 더 완성도가 높은 무기를 시험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또한 극초음속 IRBM은 레이더로 탐지하기 어렵다는 특징 때문에 미국을 크게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무기라고 해석된다.

 

군은 이번 발사를 예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부터 발사 장소 인근에서 이동식발사대(TEL) 운용 정황을 파악하는 등 북한의 극초음속 IRBM 발사 징후를 포착해 예의주시했다. 김명수 합참의장은 지난달 3일 육군 1군단사령부에서 대비태세를 점검하며, 당장이라도 발사할 수 있다는 경고문을 통해 도발 징후를 언급하기도 했다.

 

합참은 이번 사건에 대해 추가 발사에 대비해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미국, 일본 측과 북한 탄도미사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하면서 만반의 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영민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