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트럼프, 취임 직후 100건 행정명령 예상…시장 변동성 커질 수도
경제

트럼프, 취임 직후 100건 행정명령 예상…시장 변동성 커질 수도

홍이슬 기자
입력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100건 내외의 행정명령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뉴욕증시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을 앞두고 기대감이 투자심리에 자극을 주어 지난주, 3대 지수(다우지수, S&P 500 지수, 나스닥 지수)가 트럼프 당선 이후 주간 단위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트럼프 랠리에 따라 빅테크를 중심으로 증시가 상승했는데, 엔비디아는 3.1% 올랐고 애플은 0.75% 상승 마감했다. 아마존은 틱톡 인수설에 2.39% 뛰었고, 테슬라도 3% 넘게 상승했으며 브로드컴은 3.5% 상승했다.

 

시장에 다시 트럼프 트레이드가 살아난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압박 수위가 높아질 것으로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트럼프 당선인과 시진핑 주석이 전화 통화를 한 것 때문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무역 균형, 펜타닐, 틱톡 등 많은 주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으며, 이번 통화는 중국과 미국에 모두 좋은 통화였다고 강조했다.  두 정상은 전략적 소통 채널을 수립해 중요한 문제에 대해 정기적으로 연락을 유지하기로 동의했다는 외신보도가 나와 미중 간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커졌고, 대중 관세 압박도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경제 지표 개선세를 보여주는 다양한 데이터 또한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2월 산업 생산은 0.9% 상승했고, 전망치인 0.3%보다 훨씬 높게 나왔으며 지난달 수치도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상향 조정되었다. 특히 제조업 생산은 8월 이후 가장 큰 폭인 0.6% 오르면서 개선세를 보였다.

 

현재까지 어닝시즌은 순조롭게 시작했으며, S&P500 기업 중 9%가 지난주까지 4분기 실적을 보고했고 그중 79%가 월가 추정보다 높은 주당순이익을 내놓았다. 이는 5년 평균 77%, 10년 평균 75%보다 높은 수치이다.

 

국채수익률은 좋은 데이터가 나온 후 소폭 올랐고, 국제 유가는 트럼프 취임 시 러시아에 대한 석유 수출 금지 조처 완화 및 미국의 석유 생산 활성화 가능성이라는 기대감으로 하락했다.

 

사진출처 BBC
사진출처 BBC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과 함께 행정명령 발표가 시작되면 주식시장은 크게 흔들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주는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없어 '트럼프 원맨쇼'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주의하셔야 한다. 

홍이슬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