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위메이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게임 시장 진출 이유
문화/연예

위메이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게임 시장 진출 이유

이은재 기자
입력

위메이드는 '미르' 지식재산권으로 유명한 게임사다. 2001년 PC 온라인게임 '미르의전설2'를 개발하며 국내외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00년 액토즈소프트에서 분사한 위메이드는 이후 중국 시장에서 '열혈전기'라는 이름으로 미르2를 출시, 동시접속자 수 35만명을 기록하며 국민게임으로 자리매김했다.

 

2004년에는 중국 게임시장 점유율 65%를 달성했고, 2005년에는 중국 동시접속자 수 80만명을 기록하며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2009년에는 중국 내 회원 수 2억 명을 돌파했으며 2011년에는 단일 게임으로 전 세계 누적 매출 2조 2천억 원을 기록했다.

 

위메이드는 2020년 미르를 새롭게 혁신하는 모바일 MMORPG 미르4를 출시하며 다시 한번 게임명가로서 발돋움했다.  미르4는 국내외에서 큰 관심을 받으며 성공적으로 출시되었다.

 

위메이드는 2021년 8월 미르4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글로벌 버전을 출시, 최고 동시접속자 수 140만명을 돌파하는 기록을 달성했다.  게임 캐릭터와 흑철 자원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경험할 수 있었고, 특히 60레벨 이상 전투력 10만 이상 캐릭터를 NFT로 생성하여 다른 사람과 거래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호평을 받았다.

 

위메이드가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선 이유는 블록체인 게임을 앞으로 게임사들이 지향해야 할 미래로 보았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게임은 사용자에게 게임 내 자산 소유권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게임에서는 이용 약관을 근거로 게임 개발사가 최종적인 게임 자산을 보유하던 반면, 블록체인 게임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게임 내 자산을 통제하고 소유할 수 있다.

 

게임 내 자산은 개인 간 거래도 가능하며,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다른 게임으로 자산을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존에 통용되던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게임의 경우, 게임 내 자산을 암호화폐로 바꿔 실물경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위메이드가 서비스했던 '미르4' 글로벌 버전은 대표적인 블록체인 게임으로꼽힌다. 유저들은 미르4 글로벌 버전에서 '흑철'을 채굴해 이를 '드레이코'라는 게임 코인으로 바꿀 수 있었다. 드레이코는 다시 위메이드가 발행한 암호화폐 '위믹스 코인'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위믹스 코인은 여러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된 만큼 이를 현금화할 수 있다.

 

블록체인 게임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게임 내 자산 소유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기존 게임에서는 불가능했던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게임을 통해 실제 돈을 버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게임업계 관계자들은 블록체인 게임이 사행성 이슈 등에 묻혀 빛을 보지 못하는 최근 상황이 안타깝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게임사들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 중 하나가 블록체인 게임인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하며, 이제는 '재미'라는 보상 외에도 시간 투자에 대한 명확한 보상이 필요한 시점임을 지적했다.

이은재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