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Icon
한국어(KO)
미국(EN)
일본(JP)
중국(CN)
logo
logo
전남 최초 구제역 발생 확산,  무안까지 퍼져
사회

전남 최초 구제역 발생 확산,  무안까지 퍼져

이준상 기자
입력

전라남도에 최초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영암군에서 무안군으로 확산되었다. 지난 14일 영암군 한우농장에서 구제역이 확인된 후 방역 당국이 설정한 방역대(3km) 밖에서도  구제역이 발견되면서 전남 지역의 축산업계에 위기가 닥쳤다.

 

전남도와 구제역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16일 무안군 한우농장에서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이는 지난 14일 영암군 한우농장에서 발생한 첫 사례 이후 전남 지역에서 발생한 두 번째 사례이다. 또한, 전날 영암군의 다른 한우 농장 3곳에서도 구제역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현재 전남에서는 총 5곳의 농장에서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방역 당국은 해당 농장들에서 사육 중인 소를 살처분하는 등 확산 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국내 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2023년 5월 이후 1년 10개월 만이다. 특히 전남도는 지금껏 구제역 청정지역으로 분류되어 한우 수출길이 열려있었다. 하지만 한순간에 구제역 발생으로 인해 전남의 한우 수출이 중단되었다. 현재 한우 수출을 위해 수출 검역 조건이 타결된 국가는 홍콩, 캄보디아, 마카오, 아랍에미리트(UAE), 말레이시아 5개국이다. 구제역 발생 시 세계무역기구(WTO) 지역화 협정에 따라 캄보디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전남 이외 지역에서 사육·도축한 한우만 수출이 가능해졌다.

 

전남에서는 호남 최대 시설을 갖춘 나주축산물공판장에서 도축된 한우가 홍콩으로 수출되고 있었으나 구제역 발생 직후 도축이 중단되었다. 당장 이달 말 1톤가량 선적 예정이었던 한우는 수출이 어려워졌다. 하루 소 200마리, 돼지 1,800마리 도축이 가능한 나주공판장은 코로나19 여파를 딛고 지난해 하반기 홍콩 수출을 재개했으나 1년도 안 돼 난관에 봉착했다.

 

전남에서는 매년 이맘때 광양 매화축제(3월 7~16일), 구례 산수유꽃축제(3월 15~23일),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3월 29~4월1일), 영암 왕인문화축제(3월 29~4월 6일) 등이 열린다. 이 축제들은 수십만 명에서 많게는 1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아 취소 시 지역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구제역 유입 우려로 인해 도와 각 시군은 17일 봄 축제 정상 개최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축제 개최 여부는 시군들의 결정에 달려 있다"며 "다만 구제역이 빠르게 확산하는 만큼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논의의 장을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준상 기자
댓글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해주세요
추천순
최신순
답글순
표시할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