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동킥보드 사고 증가 추세, 충남 등 전국 확산

이준상 기자
입력

충남 지역에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이동장치(PM) 교통사고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전국적으로도 사고 건수와 사상자가 늘어나 안전관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8일 아산시 배방읍에서 10세 여아가 킥보드를 타다 넘어져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고, 지난달 14일에는 천안시 서북구에서 46세 남성이 전동휠을 운행 중 턱에 걸려 골절상을 입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정현 의원(대전 대덕구, 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내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이동장치 교통사고는 2022년 70건, 2023년 116건, 2024년 121건으로 집계되며 72.9%(51건)나 증가했다. 부상자 또한 78명→123명→136명으로 74.4%(58명) 증가했고, 안타깝게도 3명이 사망했다.

 

충남도는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교통사고 및 사상자 모두 경기(789건, 881명), 서울(448건, 503명), 대구(129건, 144명)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지자체가 접수한 민원도 2022년 602건, 2023년 655건, 2024년 869건으로 44.4%(267건) 증가했다. 충청권 다른 시도의 경우 대전은 사고 201건, 부상 228명, 사망 4명, 민원 5만 1664건을 기록했고, 세종은 사고 75건, 부상 88명, 사망 1명, 민원 404건, 충북은 사고 283건, 부상 312명, 사망 6명, 민원 1543건을 기록했다.

 

박정현 의원은 "전국적으로 2022-2024년 3년 동안 발생한 개인형이동장치 교통사고는 7007건, 사상자 7865명으로, 절반 가량(49%, 3442건)이 무면허운전"이라며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의 44%는 19세 이하 청소년(15세 이하 1441명, 16-19세 648명)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유업에 속하는 전동킥보드업체는 지자체에 별도의 신고나 등록이 필요 없어 안전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면허검증시스템 의무화가 필요하다"며 "지자체와 협력해 규제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