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관세 부과 검토…한미 무역 합의 영향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해 100%에 가까운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한국 반도체 수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을 약속하거나 건설 중인 기업에는 관세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타결된 한미 무역 합의에서 반도체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다고 주장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대미 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모든 집적 회로와 반도체에 대략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내 생산 시설을 건설 중인 기업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약속을 번복할 경우 누적된 금액을 청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계획을 ‘매우 중요한 선언’이라고 강조하며 반도체 산업의 미국 내 복귀를 촉구했다.
트럼프 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반도체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이는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반도체는 세계무역기구(WTO)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회원국 간 무관세로 거래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으로 인해 이러한 무역 질서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대미 수출액은 106억8000만 달러로, 전체 수출 품목 중 3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문제 삼아 인도에 2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중국에도 2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대통령 앞에서 향후 4년간 60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할 계획을 밝혔으며, 이는 당초 투자 계획보다 1000억 달러가 많은 규모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의 투자 결정을 높이 평가하며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