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 4500곳 육박…5년 만에 최대
2023년 기준, 한국의 외감기업 중 부실기업이 4466곳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전체 외감기업 수(3만7510곳)에서 약 11.9%를 차지하는 수치로, 2019년 이후 최대규모이다. 경기회복 지연과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부실기업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기업부실예측 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는 2508곳, 2020년에는 3077곳으로 증가 추세였고, 2022년에는 3856곳, 2023년에는 4350곳으로 계속 증가했다. 부실기업 수와 비중 모두 2019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개별 기업이 부실 상태로 전환될 확률인 ‘부실확률’도 꾸준히 상승했으며, 2019년 5.7%에서 지난해에는 8.2%까지 증가했다. 부동산·임대업의 부실확률이 24.1%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5.7%),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14.0%) 순으로 높았다.
제조업은 2.8%로 가장 낮았고, 도소매업(4.1%),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4.3%), 사업시설관리·지원서비스업(5.7%) 등의 부실확률은 비교적 낮았다.
건설업 부실확률이 2019년 3.3%에서 지난해 6.1%로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건설 수주 부진, 고금리, 고물가 등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분석된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자금조달 비용 완화와 유동성 지원으로 부실위험을 줄이는 한편 원활한 사업재편을 저해하는 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