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엔비디아, 한국에 GPU 26만개 우선 공급하며 AI 동맹 강화

홍이슬 기자
입력

엔비디아와 한국 정부, 기업들이 인공지능 개발에 필수적인 GPU 26만개 공급에 합의하며 AI 분야 협력을 강화한다. 이번 협력은 한국의 AI 경쟁력 강화는 물론, 엔비디아와 국내 반도체 산업 간의 윈-윈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네이버,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그룹 등 주요 기업들이 AI 팩토리 구축에 박차를 가하며 제조업 혁신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5만개의 GPU를 확보하여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에 활용할 계획이다. 대학, 연구 기관, 스타트업에 AI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5만개 이상의 GPU를 도입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 전반에 AI를 적용하는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개발 및 양산 주기 단축, 제조 효율성 및 품질 경쟁력 강화에 힘쓸 것이다.

 

SK그룹은 엔비디아의 GPU와 제조 AI 플랫폼을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2027년까지 100MW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AI 기반의 반도체 설계와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에 집중하며, SK텔레콤은 엔비디아와 6G 통신 핵심 기술인 AI-RAN 연구 개발에 협력한다. 현대차그룹은 엔비디아 GPU 기반 AI 팩토리를 통해 차량 내 AI, 자율주행, 로보틱스 분야의 모델 개발에 투자하며, 과기정통부와 피지컬 AI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3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네이버는 자체 데이터센터를 확장하고 한국어 특화 LLM을 개발하며, 엔비디아와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반도체, 조선, 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하여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할 것이다. LG전자 또한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피지컬 AI, 디지털트윈 등 차세대 기술 혁신을 추진하며, 엔비디아의 범용 휴머노이드 추론모델 ‘아이작 GR00T’를 기반으로 자체 피지컬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GPU 공급 확대는 국내 HBM 개발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HBM3E를 독점 공급 중이며, HBM4 납품도 계획하고 있다. 삼성전자 또한 HBM4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치맥 회동을 가졌으며, APEC 폐막 연설에서 엔비디아의 AI 전략을 설명할 예정이다.

홍이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