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미국 내 현대차·LG 배터리 공장 단속에 대한 여야 공방 격화

최영민 기자
입력

국민 300명 이상이 미국 조지아주에서 불법 체류 단속에 걸려 체포된 사건과 관련해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의 외교적 대응을 비판하며 실용외교를 묻고, 더불어민주당은 한미동맹 훼손을 우려하며 비판에 응수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수많은 한국 기업이 미국에 투자하는 상황에서 근로자들이 무더기로 체포되는 것은 국가적 리스크라 지적했다.

 

주한 미국 대사가 공석인 상황에서 외교 당국의 대응 공백이 드러났다고 비판하며 이재명 정부가 ‘700조 선물 외교’에 취했을 것이 아니라 교민 안전과 기업인 권익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기업들의 현지 고용과 비자 문제를 제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5000억 달러의 ‘선물 보따리’를 미국에 안겼지만, 공동성명조차 발표하지 못한 채 현대차·LG 합작 공장 단속 사태로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국민들 사이에서 투자하고 뒤통수를 맞은 것 같다는 분노의 목소리가 크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백승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정부와 외교부가 모든 역량을 동원해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고 밝히며, 국회 역시 여야가 함께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이 한미 정상회담을 연계해 정쟁의 도구로 삼고, 심지어 한미동맹을 훼손하는 발언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며 정쟁을 위한 억지 주장을 당장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미 국토안보수사국(HSI), 연방수사국(FBI), 이민세관단속국(ICE), 주류·담배·화기 및 폭발물 단속국(ATF) 등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서배나에 있는 현대차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대대적인 단속을 벌였다. 목표는 캠퍼스 내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으로 짓고 있는 배터리 공장(HL-GA 배터리 회사)이었다. 미 국토안보수사국(HSI)은 5일 브리핑에서 총 475명을 체포했다고 밝혔으며, 외교부는 이 중 300명이 넘는 한국인이 포함되어 있다고 파악했다.

 

체포된 한국인들은 미국에서 취업 활동이 불가능한 B1 비자 또는 전자여행허가(ESTA)를 받고 관광 목적으로 입국한 것으로 보인다. 구금된 나머지 인원은 중남미 출신의 불법 이민자인 것으로 추정된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