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 참여 검토… 에너지 도입선 다변화 기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하여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더그 버검 백악관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 겸 내무장관 등 미국 고위 당국자들과 만나 한미일 3국 협력 방식으로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초부터 석유·가스 대대적인 증산을 통해 자국 에너지 산업 부흥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와 관련,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 제한을 푸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알래스카 자원 개발에 동력을 불어넣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너지 업계에서는 우선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의 동향에 주목한다. 미주 정부 주도 사업은 북극해 연안 알래스카 북단 프루도베이 가스전에서 나오는 천연가스를 송유관을 거쳐 앵커리지 인근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날라 액화한 뒤 수요지로 나르는 프로젝트다.
알래스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약 1300km 길이 가스관을 건설하고 액화 터미널 등 인프라를 건설해야 한다. 초기 추산으로만 약 450억 달러(약 64조 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엑손모빌 등 오일 메이저가 참여한 가운데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북극해 인근 지역 특성에 따른 개발의 어려움과 사업성 문제로 민간기업들이 빠져나가 계획 단계에서 오랜 기간 진척이 없었다. 따라서 미 에너지 당국은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주요 LNG 수입국이 장기 구매를 전제로 개발 단계부터 사업에 들어와 주기를 기대한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방미를 계기로 발 빠르게 적극적 참여 의향을 밝힌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정상 공동 기자회견에서 양국 기업의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투자 계획 등 미국산 LNG 수출 확대를 대대적인 성과로 홍보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 정부로서는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의 규모가 워낙 커 일본 외에도 한국 등 다른 LNG 수요국들이 함께 사업에 참여하기를 희망한다.
미국 통상 고위 당국자는 후보자 시절부터 한국 기업들과 여러 차례 공식·비공식 접촉하는 과정에서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에 한국도 적극 참여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은 일본과 함께 중국에 이어 나란히 세계 LNG 도입 2∼3위국이다. 한국 천연가스 수입에서 미국 비중은 2016년 0.1%에서 2021년 18.5%까지 급상승했다. 다만, 2022년부터는 미국 비중이 고점 대비 다소 하락해 작년 12.2%까지 내려와 미국산 비중 확대의 여지가 있다는 평가다.
주요 무역 적자국들을 향한 '관세 전쟁'을 예고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세계 각국은 앞다퉉 미국산 LNG 등 에너지 수입 확대를 천명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번 안 장관의 방미 때 트럼프 2기 중으로 한국이 미국산 가스 구매를 확대하겠다는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셰일가스 위주인 미국산 천연가스는 지역 내 소비자가 많고, 액화 터미널과 장거리 이송 가스관 등 인프라 시설은 부족하다. 따라서 통상 압력 완화를 위해 한국, 일본, 인도, 유럽연합(EU) 등 각국이 경쟁적으로 미국산 LNG 구매를 확대하겠다고 나선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미국 가스를 대량으로 추가 구매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이유로 개발 단계부터 투자해 '입도선매' 방식으로 장기 구매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를 위한 현실적 해법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울러 액화 터미널, 송유관 건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이뤄진다면 철강·건설 등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참여 기회를 얻을 수 있고, 북극해라는 사업지 특성상 한국이 세계적 기술을 보유한 쇄빙 LNG선 투입 가능성도 높아 사업이 가시화한다면 한국 기업들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도 있다.
다만, 정부는 장기간 공전한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에는 대규모 리스크가 동반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보이는 국내 기업들과 함께 사업성을 확인하는 단계부터 신중히 실무 협의를 통해 단계적인 절차를 밟아나갈 방침이다.
한미일 3국 차원의 공동 사업 추진이 구체화하려면 한·미 실무협의 채널에 이어 한·일 에너지 당국 간 실무 협의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