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여름철 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 주의
사회

여름철 모기 매개 감염병 발생 주의

이준상 기자
입력

장마와 폭염 이후 모기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말라리아와 일본뇌염 등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말라리아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일본뇌염 환자 또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모기 회피와 예방 접종을 통해 감염병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1월 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40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294명, 2022년 420명, 2023년 747명, 2024년 713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국내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5월부터 10월 사이 인천, 경기 및 강원 북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말라리아의 대표적인 증상은 발열, 심한 오한, 두통, 근육통 등이며, 혈액검사에서는 혈소판 감소가 흔하다. 치료는 경구항말라리아제를 일정 기간 복용하며, 원충 종류와 내성 여부에 따라 약제가 달라진다. 치료를 중단하면 영유아, 고령자, 기저질환자는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024년부터는 보건소에서 무료 검사를 받을 수 있으며, 의료기관에서는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환자 수는 2021년 23명, 2022년 11명, 2023년 17명, 2024년 21명으로 보고됐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발병할 경우 5~15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지각 이상 등의 증세를 보인다. 회복하더라도 환자의 30~50%는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일본뇌염에는 치료제가 없으므로 예방 백신 접종과 모기 회피가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생후 12개월부터 12세까지는 예방접종을 반드시 완료해야 한다.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서는 개인의 위생 관리와 함께 적극적인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이준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