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감원 직원, 조직 개편에 반대하며 IMF에 독립성 훼손 우려 전달

홍이슬 기자
입력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금소원 분리와 공공기관 지정 등 정부의 금융감독체계 조직 개편안에 반대하며 사흘째 집회를 이어갔다.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한 이들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의 면담을 통해 집단행동 계획을 결정할 예정이다.

 

11일 오전 8시 영등포구 여의도 금감원 로비에서 공공기관 지정과 금소원 분리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다. 약 700여 명의 직원이 어두운 색 옷을 입고 참여했으며, 기수별 동기회에서 준비한 근조기와 명패가 로비에 놓였다. 국장, 팀장, 수석조사역 등 핵심 인력의 명패도 눈에 띄었다.

 

로비 2층에는 "금융소비자 보호가 운명을 다했다"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렸다. 집회 참석자들은 '금소원 분리 철회', '공공기관 지정 철회'가 적힌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신설되는 금융감독위원회에 금감원의 제재심의위원회와 분쟁조정위원회가 이감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금감위 설치법 개정안 논의하라', '금감원 의견 반영하라', '금융위 조직 확대 중단하라'는 구호도 추가됐다.

 

윤태완 금감원 비상대책위원장은 "금감위가 제재심과 분조위를 가져가겠다고 하는데, 대통령의 뜻은 아닐거라 생각한다. 원장이 이 정도는 막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주 면담이 예정되어 있다. 원장에 대한 신뢰를 유지할 것인지, 거둬들일 것인지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외부 일정을 위해 금감원을 나서던 이 원장은 집회에 참여한 직원들과 마주쳤다. 이 원장은 구체적인 면담 일정 등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지 않았다. 앞서 이 원장은 금감원 내부 공지에서 조직개편안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금감원 직원들은 체계적인 활동을 위해 30명 내외의 비대위를 구성하고, 당분간 비대위 활동에 전념할 계획이다. 비대위는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다. 또한 12일 오후 금감원을 방문하는 국제통화기금 협의단에도 독립성 훼손 우려를 전달하는 의견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파업 및 외부 집회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시위에 앞서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특검법을 수정하는 대신 금감위 설치법에 협조하기로 했다. 금감위 설치법을 심사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은 윤한홍 의원이다. 그러나 이 합의는 여러 국회의원의 반발에 부딪혀 사실상 결렬됐다.

 

윤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가 누구를 만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만날 수 있는 사람은 다 만날 예정"이라며 "여당이든 야당이든 만나 비대위 입장을 설명할 기회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홍이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